해외여행 준비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지도 어플이 아닐까 합니다.
국내에서야 데이터연결이 자유로우니 구글지도나 T map, Olle navi, 다음맵 등 다양한 지도 어플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런 어플들은 데이터 연결이 자유롭지 못한 해외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고 맙니다.
물론 구글지도는 오프라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네트워크 연결상태에서 미리미리 볼 지도를 그대로 한번씩은 봐줘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지도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저장해서 데이터연결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지도를 볼 수 있고 GPS로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어플로 유명한 것 중 하나가 OruxMaps입니다.
그동안 해외에 나갈때면 늘 Locus pro를 이용해서 오프라인 지도를 만들어 갔는데, 최근에는 많은 분들이 OruxMaps를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유료인 Locus pro와는 달리 OruxMaps는 무료라는 강점과 자전거 라이딩이나 등산시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좀더 편하게 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오프라인용 지도 어플 OruxMaps
OruxMaps는 구글의 Play 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OruxMaps의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 연결이 되지 않은 Off-Line상태에서도 모든 지도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 다양한 온라인 맵 보기(구글, 마이크로소프트, Yandex, WMS...)
- 온라인 맵을 오프라인 맵으로 만들기
- 블루투스 GPS 연동
- 오프라인 레이어 맵
- 이동 경로 기록(TrackLog) 및 불러오기
- 트랙 편집
등의 주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료 어플이라고 보기에는 완성도와 기능면에서 매우 우수합니다.
국내에서 OruxMaps가 널리 퍼지게 된 곳은 주로 산악회와 등산커뮤니티, 자전거 동호회 등에서 자신들의 등산경로와 라이딩 경로를 공유하면서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등산을 할때 미리 다른사람의 등산 로그 기록을 저장해 가면, 그 경로대로 따라서 갈 수 있어 산행시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죠.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능들을 모두 활용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OruxMaps은 무료 어플이라는 강점과 다양한 기능으로 무장하고 있어 다른 어플들과의 경쟁에서 앞서고 있는 것 같습니다.
OruxMaps Screenshot
그동안 OruxMaps를 이용하면서 가장 큰 어려움은 영어로 된 메뉴였습니다. 하지만, 2013년 3월 10일 업데이트 된 v.5.2.2부터 모든 메뉴가 한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사용방법 설명이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IT/Mobile] - [OruxMaps] 오룩스맵스 v5.2.2로 업데이트로 한글화
물론 산악지도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트렉을 가져와서 활용하는 부분은 조금 어려울 수도 있으나 몇번 작동해 보면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세한 사용 메뉴얼은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메뉴얼 다운로드 => http://oruxmaps.com/manual_en.html]
Oruxmaps 홈페이지 가는 것을 귀찮아 하시는 분들을 위해 영문 메뉴얼을 올려 놓습니다.
한글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아쉽네요. 단순히 지도를 보고 현재위치 파악과 포인트 설정, 이동경로 기록 등은 메뉴얼의 앞쪽에 있는 그림들로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메인 화면에서 볼 수 있는 버튼들은 모두 직관적인 아이콘으로 되어 있어 한번씩만 눌러보면 어떤 기능들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OruxMaps에서 오프라인 지도 만들기
OruxMaps는 구글지도 어플과 같이 봤던 지도는 Cash로 저장해서 Off-Line상에서 그대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Cash된 지도는 봤던 그대로의 상태, 즉 줌 레벨과 위치등의 지도를 그대로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리 보지 않았던 확대된 지도나 옆쪽의 지도를 볼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여행을 떠나기 전에 Wi-fi나 데이터연결을 통해 미리 지도를 줌 레벨별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지도아이콘을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 중 지도작성기가 있습니다.
1. 지도 작성기 메뉴를 누르면 1번 화면이 나옵니다.
2. 지도에서 오프라인 지도를 만들 두개의 포인트를 지정해 준 후 V체크를 눌러줍니다.
3. V체크를 누르면 레벨 설정창이 열립니다.
4. 레벨 설정창에서 원하는 줌 레벨을 선택하고 지도이름을 입력한 후 다운로드를 눌러줍니다.
지도 줌 레벨은 00은 최대 줌아웃이 된 레벨로 국가 전체를 볼 수 있는 수준이고, 20레벨은 건물까지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레벨입니다.
따라서, 전체 레벨을 모두 선택하거나 20레벨 처럼 확대된 지도 레벨을 선택하게 되면 파일 용량이 그만큼 커지게 됩니다.
5. 지도 다운로드가 시작 됩니다. 지도파일이 클 경우는 Wi-Fi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죠.
6. 5에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시 지도로 들어가 지도전환으로 들어가 OFFLINE을 보면 생성한 지도파일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ruxMaps가 업데이트 되면서 구글맵이 사라졌습니다. 버전업된 OruxMaps에서 구글맵을 볼 수 있는 방법은 네이버블로그에 올렸으니 아래의 링크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chibur.blog.me/50187701980
![](http://cfs.tistory.com/custom/blog/46/464058/skin/images/coment.jpg)
'IT > 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uxMaps] 오룩스맵스 v5.2.2로 업데이트로 한글화 (9) | 2013.03.13 |
---|---|
[옵티머스 LTE2] 옵티머스 LTE2 젤리빈의 새로운 기능, Q슬라이드 (5) | 2013.01.08 |
[옵티머스 LTE2] 몰랐던 옵티머스 LTE2 이어폰 "다음곡" 사용법 (2) | 2012.12.26 |
[옵티머스 LTE2] Optimus LTE II 젤리빈 업그레이드 방법 (34) | 2012.12.16 |
[옵티머스 LTE2] LG OPTIMUS LTE2 젤리빈 업그레이드 (0) | 2012.12.13 |
[테이크 타키] 타키폰 SuperOneClick으로 루팅하기 (34) | 2012.10.05 |